국세청 탈세 신고 방법과 포상금 지급 기준
한국에서 탈세는 국가의 재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 이를 예방하고 감시하기 위해 국세청은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고 있습니다. 탈세 제보를 통해 부정한 세금 회피를 방지하고, 신고하는 시민에게는 포상금을 지급하는 제도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세청의 탈세 신고 방법과 포상금 지급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탈세 제보 방법
탈세 제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가능하며, 제보자는 이 중 편리한 방법을 선택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신고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세청 홈페이지: 국세청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탈세 제보’ 코너를 통해 신고할 수 있습니다.
- 서면 접수: 관할 지방국세청이나 세무서를 방문하여 직접 서면으로 제보 가능합니다.
- 전화 신고: 전화로 신고를 원하시는 경우, 국번 없이 126번으로 연락하시면 됩니다.
- 모바일 앱 이용: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통합 앱을 통해서도 신고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렇게 접수된 신고는 탈세 행위를 제보한 사람의 신원이 철저하게 보호되며, 모든 단계에서 비밀이 유지됩니다. 제보 내용은 지방국세청장 또는 세무서장의 최종 결정에 따라 처리됩니다.
탈세 제보 포상금 지급 기준
탈세 제보를 통해 ‘중요한 자료’를 제출한 경우에는 포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포상금 지급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일반 조세탈루에 대한 포상금은 탈루세액이 5천만 원 이상 추징되어 납부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조세 범칙행위와 관련하여도 동일한 조건이 적용됩니다.
중요한 자료란 탈세를 입증하기 위한 구체적인 거래 정보, 품목, 수량, 금액 등의 내용이 포함된 자료를 의미합니다. 또한, 회계 부정, 부동산 투기 거래, 상속세 및 증여세 탈루와 관련된 정보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포상금 지급 대상과 조건
포상금 지급 대상이 되는 중요한 자료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조세 탈루를 확인할 수 있는 거래처 관련 정보
- 회계 부정 및 부동산 투기 거래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
- 밀수, 마약 등 반사회적 행위와 관련된 정보
하지만, 제3자의 명의로 자료를 제출하거나, 무분별한 추측성 제보는 포상금 지급에서 제외됩니다. 또한, 이미 조사 중인 납세자에 대한 자료는 포상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포상금의 종류와 지급액
국세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탈세 신고에 대해 각각 다른 포상금 지급 기준을 두고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포상금 종류입니다:
차명계좌 신고 포상금
차명계좌를 신고함으로써 세금을 징수하는 데 기여한 신고자에게는 다음과 같은 포상금이 지급됩니다:
- 차명계좌를 통해 확인된 탈루세액이 천만 원 이상일 경우, 신고자는 연간 5천만 원 한도 내에서 건당 5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체납자 은닉재산 신고 포상금
체납자의 은닉 자산을 신고하여 체납세금을 징수하는 데 기여한 신고자에게는 다음과 같은 포상금이 제공됩니다:
- 징수 금액의 5%에서 15%를 포상금으로 지급하며, 최대 20억 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결제 거부 및 현금영수증 발급 거부 신고 포상금
신용카드 가맹점에서 결제를 거부하거나 현금영수증 발급을 거부한 경우, 신고자는 다음과 같은 포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신용카드 및 현금영수증 발급 거부 금액의 20%를 지급하며, 건당 50만 원, 연간 200만 원 한도 내에서 지급됩니다.
- 5천 원 이하의 거래는 포상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현금영수증 미발급 신고 포상금
현금 거래에 대해 현금영수증을 발급하지 않은 경우, 신고자는 다음과 같은 포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미발급 금액의 20%를 지급하며, 건당 300만 원, 연간 1,500만 원 한도 내에서 지급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신고는 거래일로부터 5년 이내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탈세 신고의 중요성
탈세 행위를 발견한 경우, 망설이지 말고 즉각적으로 국세청에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탈세가 발생할 경우, 이는 성실히 세금을 납부하는 국민에게 피해를 주며, 국가의 재정 건전성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탈세에 대한 감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공정한 세정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국세청은 앞으로도 적극적인 탈세 제보 포상금 제도를 통해 국민이 참여하는 성실한 세금 납부 문화의 정착을 지원할 것입니다.
자주 찾는 질문 Q&A
탈세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탈세 제보’ 코너를 통해 신고하거나, 전화로 126번에 연락하면 됩니다. 또한 서면으로 지방국세청에 제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포상금을 받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요?
포상금을 받으려면 탈세와 관련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야 하며, 탈루세액이 5천만 원 이상 추징되어야 합니다.
탈세 제보 시 신원 보호는 어떻게 되나요?
제보자의 신원은 철저히 비밀이 보장되며, 모든 신고 과정에서 개인 정보는 보호됩니다.
포상금 지급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차명계좌 신고, 체납자 은닉재산 신고, 신용카드 결제 거부 및 현금영수증 미발급 관련 신고 등 다양한 포상금 종류가 있습니다.
신고 후 포상금은 언제 지급되나요?
신고 후, 관련 조사가 완료되면 포상금이 지급되며, 지급 시기는 사건의 복잡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